미국 디젤 재고가 최악의 시기에 사상 최저치 기록
경유 재고량이 사상 최저
미국 디젤 재고가 사상최저라는 뉴스가 있었다. 앞으로 경유가격이 더 오른다는 뉴스는 아닐까? 미국 디젤유 재고를 확인해보니 역사상 최저치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미국내 가격을 보면 휘발유는 가격이 오히려 떨어지고 있고 경유는 상승세이다. 이렇게 가격이 다르게 움직였을때가 없었다.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원인은 무엇일까?
제가 볼때는 앞으로는 경유가격이 더 오를꺼라고 생각한다. 원래는 경유가 휘발유 보다 200원 정도 저렴했다. 우리나라에서는 휘발유에 세금을 54% 세금을 부치고 있고 경유가 45%의 세금이기때문에 휘발유가 더 비싸다라고 알고 있다. 정제과정을 보면 원유에서 LPG를 가장 먼저 뽑아내고 그 다음에 휘발유 나프타 등유 항공유를 뽑아낸 다음에 경유를 뽑아낸다. 위로 갈수록 고품질 아래로 내려 갈 수록 저품질 이렇게 볼수 있다. 한 통에서 나오는거기 때문에 비용이 더 차이나는것은 아니다. 비중에 따라 차이는 날 수 있다. 휘발유가 25% 정도 나오고 경유가 30% 정도 나온다. 고도화설비를 하게 되면 휘발유 비중이 훨씬 더 높게 나온다. 그렇기 때문에 생산 원가가 차이가 나서 가격이 다르다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공급량과 수요량이 서로 맞물리면서 가격이 형성되는게 경유가격과 휘발유 가격이다. 그럼 우리는 휘발유 가격이 비싸다가 경유 가격이 엎어졌다 라고 하면 경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난거 아닌가 의심해 볼수 있다. 휘발유의 경우 승용차에 많이 사용하고 경유의 경우 화물차들이 많이 사용한다. 영업용으로 많이 사용했기때문에 휘발유에 세금을 더 붙이는 것을 이해했다. 그런데 가격이 바뀌면서 이상하게 됐다. 영업하는 사람들이 경유가 들어가는 화물차를 운전하면서 기름값을 더 많이 내고 승용차를 타는 사람들이 기름값을 더 적게 내니 말도 안되지 않냐라고 합니다. 휘발유와 경유의 세금 차이가 원래 236원이였고, 유류세 인하가 되면서 휘발유가 519원 세금 붙이고 경우가 411원 붙이니깐 세금 차이가 180원 정도 나온다. 과거에는 경우가 200원 더 저렴했다가 지금 300원 정도 더 비싸졌으니깐 500원 정도 올랐다고 볼 수 있다. 세금을 계산해도 경유 가격이 많이 올랐다.
경유가 더 비싼진 이유
그 이유는 이제 수요와 공급의 문제가 생겼다. 그 중에서 공급단에서 문제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유럽 같은 경우는 경유에 60%를 어디서 공급을 받냐면 러시아에서 공급을 받는다. 러시아 석유제품 수출 1위 디젤이다.러시아발 디젤이 막혔기 때문에 전세계 디젤 공급이 부족해졌다 이렇게 볼 수 있다. 원유시장에서 차지하는 빅3는 브렌트유, 두바이유, WTI유이다. 우리나라가 70% 받는 곳이 두바이유이다. 고유황 중질유 최근 수입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 WTI, 미국산 저유황 경질유 WTI같은 경우 황함유량이 0.24%이다. 가장 적다. 그래서 휘발유라던가 나프타같이 고부가가가치 유종이 많이 추출된다. 좋은 기름이다.그렌트유도 황함유량이 낮다. 두바이유 같은 경우는 황함유량이 높다. 2.04%이다. WTI보다 8배가 높다. 그만큼 품질면에서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벙커C유나 중유가 훨씬 많이 나고 있다. 기존에 정제설비들이 두바이유에서 석유제품을 뽑아내는데 최적화 되었다. 원유에서 화학제품을 뽑아내는데 원유가 석유화학과 연관이 깊다. 두바이유같이 이런 일반적인 원유에서는 최대 20%~30%정도의 나프타를 추출할 수 있다. 공급단에서 러시아 공급이 막혔고 셰일 원유 정제 시에 가성비로 인해서 휘발유가 더 많이 나 올 수 있고, 경유는 IMO 규제로 수요가 늘어났고 바이오디젤 의무함유량도 늘어났고, 경유가격 상승 압박도 받고 있다.
경유가격이 내릴려면?
쉽지 않다. 우선은 러시아랑 우크라이나가 종전을 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중동산 원유를 증산하는 방법도 있다. 그런데 중동에서 어떻게 했느냐? OPEC+가 하루에 200만 배럴 감산 방침을 유지했다. 가장 큰 걱정이 12월 5일 부터 러시아 석유상한제가 시작된다. 러시아 원유를 60달러 이상으로 살 수 없게 하는 조치고요. 유럽같은 경우는 러시아 원유 수입 금지 비율이 90% 차지한다. 경유 부족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볼 수 있다.
'돈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배당주 투자 및 주의점 (0) | 2022.12.18 |
---|---|
내년 상반기 '큰 돈 벌 기회가 온다?' (0) | 2022.12.15 |
부동산, 지금 싸다고 살 때는 아니다._한문도 교수 (0) | 2022.12.05 |
사람들이 모르는 연말정산 꿀팁!! (2) | 2022.12.01 |
환율과 한국 증시 앞으로의 방향 (0) | 2022.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