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가 있는날
2014년 1월부터 문화체육관광부가 일반인들이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매달 마지막 수요일에 지정한 날로, 전국 주요 국공립 박물관, 미술관, 고궁 등을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등의 각종 행사가 진행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다양한 문화시설을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매달 마지막 수요일에 '문화가 있는 날'로 지정해 전국 주요 국공립 박물관, 미술관, 고궁 등을 무료로 관람 할 수 있는 등의 각종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문화가 있는 날'은 2014년 1월 29일 처음으로 시행되었다.
*경복궁, 창덕궁, 덕수궁, 창경궁 등 조선 4대 궁궐과 종묘, 조선왕릉 무료개방
*전국 주요 영화상영관의 영화 관람료 특별 할인(단, 지역별 상영관별로 시행 여부가 다르기 때문에 확인이 필요하다)
*자녀(초등학생 이하)와 부모 동반 입장 시 프로농구, 프로배구 관람료 특별할인(국립현대미술관 특별전, 예술의 전당, 국립과학관등)
*국립극장 및 국립국악원 특별공연 무료, 정동극장, 예술의 전당 등 주요 공연관람시설 할인 등의 혜택
다만 기관마다 할인율 및 참여여부가 상이하기 때문에 미리 알아보고 참여해야 한다.
영화 할인
요즘 영화 한편 보려고 해도 영화 관람료가 부담되어 영화 보기가 겁이 나는데요. 영화 티켓값이 기본 주중 1만 4천원, 주말 1만 5천원이 됐습니다. 10년 전인 2013년의 평균 영화 관람료( 매출액을 관람객 수로 나눈 수치)는 7천 271원이였다. 같은 해 2월 CGV는 주중 티켓값을 9천원으로, 주말은 1만원으로 인상해 영화 관람료 1만원 시대를 연다. 세월이 흘러 멀티플렉스 극장들이 최근 인상한 티켓값은 기본 주중 1만 4천원, 주말 1만 5천원이 됐다. 주말에 영화관에서 데이트하려면 팝콘 안 먹어도 3만원 시대가 되었다. 영화진흥위원회 자료에 따르면 월 평균 영화관람료도 지난 5월 1만 355원으로 사상 처음 1만원대를 넘어섰다. 그런데 영화관 데이트 3만원, 가족 나들이 6만원, 팝콘에 콜라까지 먹으면 10만원정도의 비용이 지불된다. 가족과 함께 2시간 정도의 시간을 보내는데 10만원을 부담하는게 적은 금액은 아니다. 그래서 문화가 있는 날에 영화 보기를 추천한다. 문화가 있는 날 영화 혜택은 7,000원에 영화를 관람 할 수 있다. (단, 지역별 상영관별로 시행 엽우가 다르기 때문에 확인 필요하다) 문화의 날 영화 예매 방법은 일반 영화 예매와 동일하게 진행되며, 휴대폰 어플이나 인터넷을 통해서 해당 영화간의 예매 사이트에 접속해 원하는 영화와 시간, 좌석을 선택하고 결제하면 된다. 그 밖에 영화 할인 혜택으로는 조조할인, 통신사 할인, 심야 할인 등이 있다.
영화 관람 가격은 2010년, 2014년, 2018년 등 4년 주기로 1천원씩 오르다가 코로나 기간이 2021~2022년에 걸쳐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 및 영업 제한으로 많게는 수천억 원씩 적자가 난 영화관들이 이를 보전하기 위해 티켓값을 올린 겁니다. 그럼 우리나라 영화 관람료는 세계적으로 어느정도 수준일까요? 미국, 일본,프랑스 등 GDP 상위 20개국 중 한국의 평균 영화 관람 가격은 8.2$로 9번째입니다. 미국, 일본, 독일, 캐나다, 호주 등이 한국보다 비싸고 프랑스, 이탈리아, 중국등은 한국보다 쌉니다. 그러니까 경제력 상위 20개국 대비 비싸지도 싸지도 않은 수준이다. 다만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2021년 평균관람 가격 상승률은 한국이 13.9%로 캐나다에 이어 두번째로 높다. 최근 2년 사이 급격히 오른 것이다. 실제 전국의 영화 소비자 2천 5백 명을 대상으로 한 '영화 소비자 행태조사'에 따르면 영화 티켓 1장 구매 시 지불 의향 금액을 묻는 질문에 8천원 이상 1만 미만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33%로 가장 많았다. 요즘 넷플렉스나 웨이브, 티빙 등 스트리밍 서비스의 월 구독료가 1만 2천원 안팎이나 영화 한 편 보는데 그 이상을 지불해야 한다면 고민이 될것이다.
다음 주 수요일이 올해 마지막 "문화가 있는 날"이다. 그래서 아이들 방학이기도 하고 재미있는 영화들도 많이 개봉 되어 가족들과 영화 한 편 보러 갈 계획이다. 문화가 있는 날이 있어 그나마 저렴하게 아이들과 문화생활을 할 수 있어서 좋다. 추운 겨울날 아이들과 갈 곳도 없고, 방학인데 마냥 집에만 있기도 고민되었는데 문화가 있는 날에 다양하게 혜택을 누릴수 있는 곳들이 있어 한번 제대로 문화가 있는 날을 누려 볼 계획이다. 많은 분들이 문화가 있는 날을 이용하여 저렴하게 영화 보길 바란다.
'돈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내일배움카드 국비지원 신청방법 (0) | 2022.12.25 |
---|---|
유용한 일상생활배상책임 보험!! (2) | 2022.12.23 |
운전면허증 갱신 온라인으로 신청하기 (0) | 2022.12.21 |
내년 1월부터 '부모급여' 지급 (0) | 2022.12.19 |
주식 배당주 투자 및 주의점 (0) | 202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