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이 지나기 전에 운전면허증을 갱신해야 하는데요. 갱신 한지 벌써 10년이 되었다니 믿어지지가 않네요. 10년전에는 운전면허시험장에 직접가서 면허증을 갱신했는데 이번에는 온라인으로도 면허증을 갱신 받을 수 있다고 하여 놀랐습니다. 집에서 운전면허시험장까지 거리도 멀고 시간도 없고 점점 갱신기간 날짜 기한이 다가 올수록 면허시험장까지 가야한다는 부담이 점점 커졌는데 온라인으로 갱신을 받을 수 있다는 말에 너무 좋았습니다. 그래서 바로 검색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 좋은 정보를 나만 알기는 아쉬워서 오늘 포스팅 주제로 정했습니다.
운전 면허증 갱신
첫번째, 운전면허시험장 방문 후 미원 처리로 갱신받기.
-이 방법은 신청과 동시에 당일 발급이 가능하지만 운전면허시험장이 집에서 먼 경우 시간을 내서 방문하고 민원 대기를 해야 하는 단점이있습니다.
두번째,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경찰서 및 운전면허시험장에 방문 수령하기.
-이 방법은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민원 대기를 비교적 짧게 할 수 있지만 신청 후 바로 발급 받을 수 있는게 아니라 약 15일에서 한 달간 대기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세번째, 경찰서 민원실가서 신청하기.
오늘은 온라인으로 발급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온라인으로 신청하기
온라인으로 신청 방법
검색창에 "운전면허갱신"이라고 검색하면 '적성검사/면허갱신 l 도로교통공단' 사이트가 있습니다. '적성검사/면허갱신 l 도로교통공단'을 클릭해서 들어가면.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바로 적성검사이다. 적성검사의 경우 1종 운전면허소지자와 70세 이상의 2종 운전면허소지자만 해당됩니다. 1종 운전 면허 갱신을 하려고 하거나 70세 이상 2종 운전면허 갱신을 원하시는 분들은 적성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사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 외에도 2종 운전면허 갱신은 적성검사를 따로 받지 않아도 됩니다.
운전면허증 갱신 수수료? 2종 수수료는 8,000원 1종 수수료는 13,000원
신청은 이렇게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할 수 있지만 수령은 면허시험장 혹은 경찰서 한 곳을 방문해서 직접 수령해야 됩니다.
운전면허갱신때 중요한 자료 중에 하나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한 건강검진내역만 자료 제공이 가능하기에 개인적인 건강검진 내역은 자료가 제공되지 않아 가까운 경찰서 민원실이나 운전면허시험장에 가서 갱신 해야 된답니다. 제 같은 경우는 보험공단에서 건강검진을 하지 않아 관할 경창서 민원실에 가서 갱신을 받아야 합니다. 그래서 관할 경찰서 민원실에 전화를 해서 물어보니 건강검진자료(시력이 나와 있어야함)와 여권사진, 13,000원의 준비물을 챙겨 오라고 한다. 6시까지 업무이니 5시 50분전에는 무조건 가야 될거 같다.
운전면허시험장이 집에서 가까우면 바로 가서 갱신하면 좋지만 저 처럼 거리가 멀다면 온라인으로 신청해서 가까운 경찰서를 방문해여 수령하는 방법도 있다. 나는 국민 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건강검진 내역이 없어서 경찰서 민원실 가서 신청하고 다시 받으러 가야 할거 같다. 그래도 멀리 안가도 된다니 너무 좋다.